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예악의 붕괴 및 제자백가

빠이팅맨 2021. 1. 10. 10:38

춘추전국시대에는 비주문화의 요소가 문화의 표층부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요소들은 대단히 일찍 형성되기 시작하였는데, 어떤 것들은

하나라나 은나라 문화의 변형이라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그것들은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주문화의 억

압으로 인해 오랫동안 재야와 하층에만 머물러 있었으며, 주로 주문

화의 세력이 약한 주변 지대, 특히 상공업과 항해술이 비교적 발달

하였고 사상계의 분위기가 비교적 자유로웠던 해안 지대에서만 활생

화되었다. 그것들의 기본적인 정신과 경향은 내륙의 중심부에서 기

원한 주문화와 달랐으며, 문화적인 이질성이 가지고 있었다. 이 때문

에 비주문화의 요소는 주문화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없었으며, 주문

화가 강력한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었을 때에는 두각을 나타낼 수도

없었다. 평왕이 동쪽으로 도읍을 옮긴 이후 주문화가 점차 쇠퇴함에

따라 전통적 신앙체계도 동요되었다. 비주문화의 여러 가지 요소가

신속하게 생장하여 끊임없이 주문화의 표면을 침식함에 따라 추추시

대에 일어났던 예악의 붕괴'와 '천하무도'의 과정도 가속화하였다

새로이 나타난 문화 요소로부터 충격을 받지 않았다면 주문화는 상

당 기간 동안 경직되었겠지만 붕괴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러

한 문화적 격변은 직접적으로 관학'의 쇠퇴와 '사학'의

흥기를 낳았다.

'사학' 이라는 말은 그 민간적재야적 성격을 잘 나타내 준다. 통

상적인 견해에 따르면 사학은 공자에게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공자

가 사학을 세운 것은 원래 주문화의 부흥을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

러한 풍조가 일어나자 그것은 오히려 재야에 잠재해 있던 관념체계

와 그 표층 형태를 발전시키는 모델이 되었다. 그렇지만 공자가 사|

학의 풍조를 연 것은 역사적 사건일 뿐이지 사상적 사건은 아니었!

다. 민간에서의 보편적인 사상 활동은 공자 이전부터 존재하였을 것

이다. 그렇지 않다면 춘추시대에 이루어진 질적인 변화를 동반한

'돌발적인' 사건들을 해석할 길이 없다.

사학의 홍기와 제자백가의 출현은 내륙 문화의 쇠퇴에 따른 결까

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완전한 해체를 촉진시키는 원인 이기도 이

였다. 그러나 제자백가의 연원은 서로 다르며, 그 문화적 배경도 복

잡하다. 전통적으로 제자백가는 왕관)이 주창한것이다.

제자백 가는 모두 왕도가 무너져 제후들이 서로 전쟁을 하던 상황에서 출현하였다,

당시의 군주들은 선호하는 바가 서로 달랐다. 그 때문에 아홉 개 학파

의 학술이 분분히 출현하여 각각 하나의 기준에 근거하여 자신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숭상하였으며, 도처에서 유세하면서 제후의

신뢰를 얻으려고 하였다.

자 뛰어난 부분을 표방하고 지려를 연마하여 그 학설의 취지

를 밝힌다

"제자백가는 왕관에서 나왔다는 설은 서주시대 이래로 중국 문화

가 일관된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은연중에 나타낸다. 제자백

가의 학문은 육경의 지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후세의 학자 중에

는 이러한 견해에 회의적인 사람도 있지만 그들조차 그 속에 포함된

관념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제자백가 사상의 기원 문제에

대해 논쟁이 그치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이제껏 왕도가 무너졌다

는 것과 제자백가가 분분히 출현하였다는 것의 역사적 인과관계에

만 주목하고 양자가 내륙 문화의 붕괴와 해안변방 문화의 홍기를

상징하는 것이고, 본질은 상이한 관념체계의 충돌과 투쟁이라는 점

을 간과한 데 있다.

"제자백가는 왕관에서 나왔다는 설에 입각하여 추론해 보면, 제

자백가는 모두 주나라 전통의 계승자이자 문화의 전파자로서, "각각

아나의 기준에 근거하여 자신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숭상하였을

뿐이다. 그러나 사실은 이와 다르다. 우리는 제자백가의 학설에서

주문화의 정신과 커다란 차이를 가지는 문화적 요소를 분명히 그리고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공자는 스스로 주문화의 계승자로 자임하였다. 그러나 주나라의

동방기지에서 태어 나고 성장하여 동쪽에 주나라를 일으킬 것이라

고 하였던 이 사람조차도 당시에 분출되고 있었던 비주문화의 요소

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것은 우선 그가 '기술을 통해

창작하는' 방법에 입각하여 새로운 관념과 새로운 사상을 사용하여

육경을 해석하고 강의하였다는 데에서 드러난다. 내륙 문화에서 

'모든 경전의 으뜸이었던 주역은 점치는 책이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