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천은 주나라 사람들의 독특한 체험세계의 응결이며 그들의 체험이 외향적으로 투사된 것이다. 그러한 체험세계는 생명으로 가득차 있는데 천의 생명력은 바로 천명으로 나타난다. 주나라 사람들에게 천명이란 하늘이 문왕에게 큰 명을 준것이며 왕이 백성들을 이끌어 하늘의 영원한 명령을 받은 것이었다. 천은 형체도 없고 말도 없지만 오히려 덕과 백성을 그 큰명의 표징으로 삼는다. 천의 천명은 실상 주나라 사람들의 역사적 체험을 표상하는 것이었다.
주민족은 강렬한 역사적 체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한 체험이 어떻게 발생하였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지만 그것이 그들의 독특한 기질이나역사와 관련이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사기 주본기에는 주민족의 역사가 기재되어 있다. 그 가운데에는 후세에 끼여들어 그 신빙성을 알 수없는 신화나 전설이 적지 않지만 그 신화나 전설의 외피만 벗겨 내면 일정한 흐름을 읽어 낼 수 있다.
첫째, 주민족의 시조인 후직은 농경을 좋아하였다. 그러나 그의 아들ㅇ니 ㅇ불굴은 농사를 담당하는 관직을 폐지하고 농사에 힘쓰지 않고 이민족의 땅으로 도망하였다. 불굴의 손자인 공유시대에 이르러서야 이민족의 땅에 있으면서도 후직의 사업을 다시 정비하여 농경에 힘쓰고 토지를 알맞게 이용하였으며 재목을 얻어 사용하였다. 이후 약 여덟 세대에 걸친 긴 공백기간을 지나서 고공단보가 다시 후직과 공유의 사업을 정비하였다. 그러나 곧 훈육의 핍박을 받은 주민족은 기산 밑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여기서 원래 농력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던 주민족이 오랫동안 농경 생활을 포기해야했던 이유가 바로 부족의 존망이 걸린 중대한 사건일 수도 있음을 알수있다.
둘째, 주민족이 가장 번영을 누렸던 시기는 농경 생활을 다시 시작하여 덕을 쌓고 의를 행하여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복속해 오던 시기였는데 그 시기는 시경에서처럼 오랫동안 주민족의 후예들이 선망하는 시기가 되었다.
셋재 주민족은 기산 밑으로 이줗나 후 농경을 급속도로 발전시키고 세력을 지속적으로 증대하여 점차 부족 집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이러한 주민족의 발전 과정은 몇가지점을시사한다. 첫째, 주민족은 오랫동안 이민족의 땅에서 유목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으나 항상 비옥한 토지와 농경 생활을 갈망하였으며, 그 이상을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둘재, 주민족은 소수 민족이었기 때문에 외부의 강한 압력에 대항하고 잔혹한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대민족들간의 관계를 잘 이용해야 했으므로 무실적인 정신과 행동방식이 발달하였다. 셋째 생산력의 수준이 아주 낮은 단계인 고대였기 때문에 농경의 기본 조건으로 일치단결된 인력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강대한 이미녹의 따에서 살았던 주민족은 끊임없이 인력을 증강하고 농경 활동을 조직하며 부족 관계를 조절하는 과정 속에서 사람이 있으면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체험을 통해 인식함으로써 백성을 보호하고 덕을 닦는다라는 사상을 키워 나갔다. 넷째, 세속적 목표에 대한 여러가지 고려때문에 그들은 실제적인 일을 중시하는 경향과 강렬한 역사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주나라 사람들은 자랑할 만한 어떠한 훌륭한 혈통도가지지 못한민족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역사적 체험을 자신들이 신봉하는 천에 투사하였다. 따라서 이 천은 역사적 의지를 가진 천이 되었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이 체험한 역사적 운명과 역사적 의지를 천명이라고 하였다. 조그마한 주나라가 부단히 그 세력을 확대하여 결국 강대한 은나라를 정복함에 따라 천명이라고 하는 주민족의 역사적 사명감이 더욱 증대되었다.
백성을 보호하려는 생각은 소수의 주민족이 오랫동안 어려운 생활을 통해 발견한 중요한 사상이었다. 그들이 보기에 천명을 받을 수 있는거의 여부는 백성을 보호하여삶을 누리게 하는데 달려있다.백성과 천은 서로 감응하여 백성이 원하는 것은 하늘이 반드시 따르고 하늘이 보는 것은 백성이 보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으며, 하늘이 듣는 것은 백성이 듣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았다.이때문에 백성의 의향은 천의 의지와 거의 일치된다.